컴퓨터

window fundamental legacy PCs ( widows flp ) 한글설치 과정

넘버_3 2009. 2. 27. 00:17
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folkpork/110016152295

MUI(Multilingual User Interface Pack)  설치 방법이다.
 
WINDOWS FLP(다중언어팩) 중에 한국어만 추출한 WINFLPMUI1_KOR.iso 파일을 구했다.  90메가 정도로 훨씬 작다.
 
 
셋업 시키면 창이 하나 뜬다.   아래와 같이 지정하고  ok !  (유니코드 아닌 언어를 한글로, 쉘 유저인터페이스를 한글로)
 
 


 

 

 

리부팅 했지만, 그다지..

 

아래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.
 


 


 

 

 

다행이 파일경로는  역슬래시가  ¥ 으로 나오지 않고 \ 로 잘 표시된다.


 


 

 

 

 

제어판으로 들어간다.

 


 


 

 

 

 

지역과 언어선택을 한다.


 


 

 
 
 
 
 
 
 
만약, 클래식보기로 하지 않았다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. 역시  지역 언어 선택을 한다.
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아래와 같이 모든 탭을 한글로 지정한다.  꼭 그럴 필요는 없지만 난 그렇게 하였다.
 


 


 


 


 


 

 

적용을 누르고 엔터,   굳이 리부팅할 필요 없이  로그오프 - 다시 로그온 하면...
 

 

 

 

아래와 같이 한글로 잘 나온다.


 

 

 

 

 

역시, 시작 - 메뉴 - 프로그램 모두 한글로 나온다.


 


 

 

 

메모장 역시 글꼴을 굴림체로 설정한다.

 


 

 
 
 
익스플로러의 옵션에서 한글글꼴 등록하는 바는 다들 아실 것이고...

 

 

기본적으로  xp에 익숙한 분들은 어려운 영어 아니니...  처음 환경에서 사용하는게  좀 더 낫다고 한다.

 

한글폰트보다 영어 폰트가 더 가볍다나..



*한영키 적용하는 방법 (시스템 레지스트리 변경)

    시작> 실행 >regedit > 엔터
    Hkey_Local_Machine/System/CurrentControlSet/Services/i8042prt/Parameters
    아래값으로 수정
        LayerDriverKOR : KBD101A.DLL
        OverrideKeyboardIdentifier : PCAT_101Akey
        OverrideKeyboardSubtype : 3
        OverrideKeyboardType : 8
    재부팅